“AI가 바꾸는 일자리의 판도,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AI시대, 미래가 불확실해지고 점점 취업과 일자리는 줄어들 것이 자명합니다.
2030년에는 AI의 특이점이 도래해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소위 노가다(?)를 대신하고
AI비서가 사무직을 대체하는 무서운 현실이 머지않았다고 전망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살아남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될까요?
『2030 미래 유망 신 직업』중 기술 공학, IT·인터넷, 의료·건강 등 각 분야에 대한 직업 별 요약 설명,
진로, 필요 역량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Part 1] 기술 공학 분야 🔧
1. 기술 문서 작성가
진로: IT기업, 제조사, 연구소.
역량: 기술 이해, 글쓰기 능력, 소통력.
2. 해양설비기본설계사
진로: 조선소, 해양엔지니어링 회사, 에너지 업체.
역량: CAD, 해양공학 지식, 문제 해결력.
3. 감성인식기술전문가
진로: AI기업, UX팀, 감성컴퓨팅 연구소.
역량: 인간행동 이해, 딥러닝, 프로그래밍.
4. 연구장비전문가
진로: 대학, 국책 연구기관, 분석센터.
역량: 기계/전자지식, 유지보수 능력, 정밀성.
5. 정밀농업기술자
진로: 스마트팜 업체, 농업 스타트업.
역량: ICT 기술, 농업 이해, 현장 대응력.
6. 산업수학 모더레이터
진로: 산업수학연구소, 금융·제조 데이터 부서.
역량: 수학적 사고, 소통능력, 문제 정의력.
[Part 2] IT·인터넷 분야 💻
IT와 인터넷 분야는 3차 산업혁명 시기부터 꾸준히 유망한 직종을 만들어왔습니다.
앞으로는 인공지능과 IT의 결합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AI 없는 IT는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밀접한 관계가 될 것이고 전도 유망합니다.
7. 빅데이터전문가
진로: 통신사, 공공기관, 유통/헬스케어/핀테크 기업.
역량: R, Python, 통계지식, 시각화툴.
8. 핀테크전문가
진로: 은행, 핀테크 스타트업, 블록체인 기업.
역량: 금융이해, 보안지식, 앱 개발능력.
9. SNS전문가
진로: 마케팅 대행사, 브랜드 SNS팀.
역량: 콘텐츠 제작, 트렌드 분석, 소통능력.
10. 사이버평판관리자
진로: PR회사, 위기관리 전문기업.
역량: SEO, 위기분석, 감정관리.
11. 디지털장의사
진로: 개인정보 관리 업체, 장례 플랫폼.
역량: 법률지식, 정보보안, 윤리의식.
12. 스마트팜구축가
진로: 농기계 회사, 스마트팜 솔루션 업체.
역량: IoT, 설비지식, 농업 현장경험.
13. 사물인터넷전문가
진로: 스마트홈, 산업자동화, 헬스케어.
역량: 임베디드 시스템, 네트워크, 데이터 연동.
14. 인공지능전문가
진로: AI 스타트업, 빅테크 기업, 공공 AI센터.
역량: Python, 수학/통계, 모델 학습·튜닝.
15. 홀로그램전문가
진로: 전시기획, 공연, 의료 시뮬레이션 분야.
역량: 3D 모델링, 광학기술, 영상제작.
16. 3D프린팅운영전문가
진로: 제조업체, 교육기관, 시제품 제작사.
역량: 3D CAD, 소재 이해, 기계운용 능력.
17. 증강현실전문가
진로: 게임, 광고, 교육, 제조분야 등 다방면.
역량: Unity, AR SDK, UX 설계능력.
18. 데이터시각화전문가
진로: 빅데이터팀, 미디어 기업, 정책연구소.
역량: Tableau, Python, 디자인 감각.
19. 메타버스크리에이터
진로: 게임사, 브랜드 마케팅, 온라인 교육 플랫폼.
역량: 3D 디자인, 스토리텔링, 플랫폼 운영능력.
[Part 3] 의료·건강 분야 🏥
20. 의약품 인허가 전문가
진로: 제약사, 식약처 관련 기관.
역량: 약학 지식, 법규 이해, 문서 작성 능력.
21. 의료정보관리사
진로: 병원, 보건소, 건강보험공단.
역량: 보건정보시스템, 전산 처리 능력, 개인정보보안.
22. 할랄전문가
진로: 식품기업, 인증기관, 수출입 컨설팅.
역량: 문화이해, 국제인증 지식, 품질관리.
23. 의료관광 경영컨설턴트
진로: 의료관광기업, 병원 국제사업팀.
역량: 언어 능력, 의료/관광지식, 마케팅 감각.
[Part 4] 상담·복지 분야 💬
정신건강상담, 전직지원, 이혼상담, 노년설계 등 삶의 전 과정에 필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24. 정신건강상담전문가(자살)
진로: 정신건강센터, 병원, 학교, 자살예방기관.
역량: 임상심리학, 공감능력,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
25. 정신건강상담전문가(중독)
진로: 재활센터, 중독 클리닉, 교정기관.
역량: 상담 기술, 중독 이해, 회복 프로그램 기획.
26. 전직지원전문가
진로: 고용센터, 민간 재취업지원기관.
역량: 커리어 코칭, 노동시장 지식, 상담능력.
27. 이혼상담사
진로: 가정법원, 복지센터, 상담클리닉.
역량: 가족상담, 법률 이해, 중재력.
28. 생활코치
진로: 개인상담소, 기업 교육기관, 자기계발 컨설팅.
역량: 코칭 기술, 심리이해, 동기부여 능력.
29. 정신대타작사
진로: 미술치료, 음악치료, 예술심리치료센터.
역량: 예술 활용능력, 심리학 이해, 창의성.
30. 노년플래너
진로: 노인복지기관, 보험사, 실버산업 분야.
역량: 고령친화지식, 상담 능력, 제도 이해.
31. 진로체험코디네이터
진로: 교육청, 진로지원센터, 체험기관.
역량: 교육 기획력, 커뮤니케이션, 진로상담 기술.
[Part 5]. 행정·법률·인사 분야 ⚖️
법률 지식과 협상력, 직무분석과 교육기획 능력이 핵심 역량입니다.
조정, 인사, HR 분야에서 전문성과 실무 경험이 중요합니다.
32. 분쟁조정사
진로: 분쟁조정위원회, 기업, 공공기관.
역량: 법률 지식, 협상력, 중립적 시각.
33. 직무능력평가사
진로: 인사팀, 고용지원기관, HR컨설팅.
역량: 직무분석, 교육기획, HR툴 운용능력.
[Part 6]. 문화·여가 분야 🎭
전시 해설, 브랜드 전시, 테마시설 운영, 콘텐츠 제작 등 체험 중심의 역할이 많습니다.
트렌드 이해, 스토리텔링, 고객경험 설계 능력이 중요합니다.
34. 문화해설사
진로: 박물관, 관광지, 전시기획사.
역량: 역사문화 지식, 해설력, 외국어.
35. 기업전시기획자
진로: 전시기획사, 대기업 홍보팀.
역량: 기획력, 시각디자인, 마케팅 감각.
36. 레저전박시설전문가
진로: 복합레저기업, 테마시설 시공사.
역량: 안전관리, 공간기획, 고객경험 설계.
37. 미디어콘텐츠크리에이터
진로: 개인 크리에이터, 미디어 제작사.
역량: 영상 편집, 콘텐츠 기획, 트렌드 이해.
38. 크루즈승무원
진로: 외항사, 크루즈 관광회사.
역량: 외국어, 고객응대, 위기대처 능력.
39. 커머스크리에이터
진로: 이커머스 기업, 셀러 플랫폼.
역량: 스피치, 상품기획, 플랫폼 이해.
[Part 7]. 디자인·언어 분야 🎨
상품 연출, 목소리 콘텐츠, 차량 개조, 과학 커뮤니케이션 등 분야가 다양합니다.
공감력, 표현력, 전문성의 균형이 중요한 역량입니다.
40. 상품/공간 스토리텔러
진로: 브랜드 기획사, 전시 디자인 업체.
역량: 스토리텔링, 시각화 능력, 공간연출.
41. 큰소리아티스트
진로: 방송사, 오디오북 플랫폼.
역량: 발성, 연기력, 감정표현력.
42. 자동차튜닝엔지니어
진로: 튜닝전문기업, 자동차 정비소.
역량: 기계 지식, 설계능력, 안전규정 이해.
43. 과학커뮤니케이터
진로: 과학관, 방송매체, 교육기관.
역량: 과학 지식, 스토리텔링, 시각자료 제작능력.
[Part 8] 안전·보안 분야 🛡️
이 직업들은 재난 예방, 안전 관리, 정보 조사 등 사회의 안정과 보호를 담당합니다.
민간조사, 화학물질 관리, 방재 시스템, 스마트 안전 기술 등 분야에서 활동합니다.
법률·공학 지식과 분석력, 위기 대응 능력이 핵심 역량입니다.
44. 민간조사관
진로: 탐정사무소, 로펌, 보험회사.
역량: 법률지식, 정보수집 능력, 추리력, 윤리성.
45. 연구실안전전문가
진로: 대학, 연구기관, 안전관리 전문업체.
역량: 화학·공학 지식, 법규 이해, 사고 예방능력.
46. 화학물질안전관리사
진로: 제조업체, 물류센터, 정부기관.
역량: 화학 지식, 안전관리법 이해, 분석력.
47. 방재전문가
진로: 지방자치단체, 재난대응기관, 공공컨설팅.
역량: 재난 시나리오 설계, 위기관리 능력, 커뮤니케이션.
48. 기업재난관리자
진로: 대기업, 공기업, 민간위기관리 기업.
역량: 리스크 분석, 모의훈련 기획력, 조직관리.
49. 스마트안전관리사
진로: 건설사, 공장, 스마트시티 관련 기업.
역량: IoT, 빅데이터 이해, 시설관리 능력.
[Part 9] 환경·반려동물 분야 🌿
환경·반려동물 분야는 생태 보호와 생명 존중을 바탕으로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추구합니다.
산림치유, 탄소관리, 반려동물 행동상담 등 다양하고 전문화된 역할이 있습니다.
환경 지식, 생명 감수성,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핵심 역량입니다.
50. 산림치유지도사
진로: 산림복지센터, 지자체, 웰니스 관광업체.
역량: 생태지식, 상담·코칭 능력, 프로그램 운영력.
51. 온실가스관리컨설턴트
진로: 환경컨설팅사, 탄소인증기관, 에너지기업.
역량: 환경정책, 수치 분석력, 시뮬레이션 툴 활용.
52. 가정위탁컨설턴트
진로: 복지시설, 아동청소년복지센터.
역량: 사회복지 지식, 아동심리 이해, 공감능력.
53. 그린직업지도사
진로: 교육기관, 진로체험센터, 환경 NGO.
역량: 환경 지식, 교육 기획력, 커뮤니케이션.
54. 애완동물행동상담원
진로: 반려동물 병원, 행동센터, 펫숍.
역량: 동물행동학, 관찰력, 훈련 기술.
55. 수의사보조원(동물간호사)
진로: 동물병원, 동물보건 관련기관.
역량: 생물학 지식, 간호기술, 동물에 대한 애정.
56. 냉매회수사
진로: 폐가전 처리업체, 냉동공조 기술사.
역량: 기계지식, 환경법 이해, 장비 운용 능력.
[Part 10] 기타 🧩
청소·정리, 안전장치 설치 등 직접적인 서비스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현장 대응력, 고객 응대 능력, 세심한 배려가 중요한 역량입니다.
57. 주택환경정리전문가
진로: 정리전문기업, 고독사 대응팀, 청소 스타트업.
역량: 위생관리, 고객응대, 정리수납 기술.
58. 영유아안전장치설치원
진로: 보육기관, 안전기기 설치 업체.
역량: 설치 기술, 안전기준 이해, 서비스 마인드.
이렇게 해서 『2030 미래유망신직업』 전체 58개 직업에 대해
요약 설명 / 진로 / 필요 역량을 모든 분야별로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0 댓글